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7)
내일배움캠프 - Day 46 - 실시간 2일차 RFC 문서 dhk 22 https://kcj3054.tistory.com/ kcj3054 kcj3054.tistory.com deployment 빌드. 람다. 링크 양식 논문 형식. soupnn.tistory. nginx를 왜 쓰셨어요? - 톰캣이나 아파치보다 이런 부분이 더 맞아서 nginx를 썼어요. 그렇게 답하려면 nginx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야 함. 이 과정에서 클라우드를 깊게 파는데 신입은 클라우드를 많이 안 만지는데 이걸 강점으로 하면 좋음. WAF - HTTP request. protocol에 대해서 특화 된 정보보호 시스템. "웹 애플리케이션이라는 [ 집 ]을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지켜내고, 사전에 발견하지 못했던 내부의 위험 요소로부터 지켜내는 [ 울타리 ] 역할을..
내일배움캠프 - Day 46 - 키워드 정리. 도메인 정의 1. 네트워크 상에서 도메인이란 네트워크 자원을 통해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워크스테이션, 기기, 프린터, 컴퓨터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지칭한다. 도메인은 도메인 컨트롤러가 있으며, 컨트롤러는 모든 기본 도메인 기능 및 네트워크 보안을 관리한다. 출처: https://www.techopedia.com/definition/1326/domain-networking What is a Domain? - Definition from Techopedia This definition explains the meaning of Domain and why it matters. www.techopedia.com 2. 도메인이란 접속할 수 있고, 공통 된 규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그..
내일배움캠프 - IP, 패킷, TCP/IP, UDP/IP Protocol "프로토콜은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칙"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1799&cid=51207&categoryId=51207 IP - Internet Protocol 정의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Internet protocol의 약어. 인터넷 상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통신망들을 서로 연결하는 규칙." "독립적인 여러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패킷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87593&cid=50373&categoryId=50373 무역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OSI 기..
내일배움캠프 - Day 45 - 실시간 수업 1 레고조립처럼 프로그래밍 하기 에러와 친해지기. 에러 마음껏 내보기. "내가 고칠 수 있나 없나?" 프로그램 만들기는 "Design -> Coding -> Testing -> Debugging". Debugging은 프로그래밍의 일부. 질문하고 답변하기 문제 적기 목적: 하려고 했던 작업, 궁금한 것. 에러 메시지 전체. 에러나는 코드. 구글에 검색하기 에러메시지를 그대로 복사해서 검색하기. (What is) + 무엇: http 403. 기술명 + 키워드. 질문하기 정리하기 에러 해결에 대한 정리하기. 내 지식으로 만들기 키워드 어떻게 연결 되는지 백지에 써보기.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 후 보강하기. Keyword Map - Cloud - Deployment - IP, Domain - CDN - DNS, N..
내일배움캠프 - Day 44 - LinkedList LinkedList 각각의 공간을 노드라고 표현한다면 노드는 두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칸에 있는 데이터. 다음 칸이 뭔지 가르키는 포인터. 포인터도 노드가 관리하는 데이터임. LinkedList는 맨 앞칸만 알면 됨. 나머지는 따라가면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음. LinkedList는 head node만 들고 있음. LinkedList는 self.head에 시작하는 노드를 저장함. 다음 노드를 보기 위해서는 각 노드의 next를 조회해서 찾아가야 함. 출처: https://spartacodingclub.kr/online/algo 스파르타코딩클럽 [알고보면 알기쉬운 알고리즘] 파이썬으로 알고리즘 핵심만 빠르게 spartacodingclub.kr:443
내일배움캠프 - Day 43 - Array. LinkedList 오늘 배운 것: 배열 배열은 각 원소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즉시 접근 가능하다는 말은 상수 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함. 배열은 중간에 원소를 삽입/삭제를 하려면 모든 원소를 다 옮겨야 함. 최악의 경우 배열의 끝과 끝에서 옮겨야 하면 배열의 길이 N만큼 옮겨야 함. 최악의 경우 O(N)만큼 시간 복잡도를 가짐. 배열은 원소를 추가하려면 새로운 공간을 할당해야 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인 자료구조임. Linked List (List) Linked List는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공간임. 연결 고리로 이어주기만 하면 자유자재로 늘어날 수 있음. List는 특정 원소에 접근하려면 연결 고리를 따라 탐색해야 함. 최악의 경우에는 모든 화물 칸을 탐색해야 하므로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 연골..
내일배움캠프 - 매컴싸 2일차 - API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약어다. API 자체 개념은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간의 연결이다.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로서 다른 소프트웨어 조각(pieces)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wikipedia.org) Interface에 대한 뜻. 컴퓨터의 정보교환체계의 2개 이상의 컴포넌트의 공유된 경계.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 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_(%EC%BB%B4%ED%93%A8%ED%8C%85)) UI란 말을 흔히 들어봤을 것이다. User Interfa..
내일배움캠프 - Day 40 - 매컴싸 1일차 오늘 내일배움캠프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CS지식 스터디를 1일차를 진행하였다. 주제는 DNS 관련이었다. 한 11명 가량 참여해주신 것 같다. 디스코드가 음질이 더 좋아서 디스코드로 하려다가 안되서 게더타운으로 그냥 했는데 여기서 시간을 5분 잡아먹었다. 역시 사람은 괜히 욕심 내면 안된다. 발표는 내가 1번 타자로 DNS에 관련해서 했다. 원래 나의 의도는 2문장 정도의 지식 전달이었다. 가장 핵심적인 내용. 그런데 내가 주도한 것이라서 사람들에게 실망을 시키고 싶지 않아서 조사를 조금 더 했다. 조사를 하면서도 과하면 안되는데 생각했다. 그런데 아침에 사람들이 질문하는 내용을 보니 생각보다 깊은 지식을 원하셔서 놀랐다. 준비 안 해갔으면 창피할 뻔 했다. 디테일을 짚고 넘어가긴 했지만 사람들에게 가..
내일배움캠프 - 매컴싸! - Domain Name Service (DNS) Domain Name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주소를 사람이 알기 쉽게 문자 (영문, 한글)로 만든 인터넷 주소. 예) naver.com 예) google.com Domain Name System이란?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치면 실제 IP 주소 233.130.200.107 변환해주는 체계. 그리고 분산 되어 있다. 쉽게 말하면 인터넷 전화번호부이다. 실제 웹사이트의 주소는 IP주소로 되어있음. 255.255.255.255. 사람이 이를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에 도메인 네임을 붙임. 예시) naver.com의 실제 주소. 233.130.200.107 터미널/cmd. nslookup naver.com 도메인 체계: 예시. www.naver.com .com top-level naver.com 2nd..
내일배움캠프 - TIL 39 - 스택. 백준 10773 스택의 사용 사례: ctrl + z 뒤로가기 Last In First Out. First In Last Out. 대한민국 공군 공정통제사(CCT)의 모토. 내가 처음 작성한 코드. def solution(n): list_one = [] for x in range(n): num = int(input()) if num != 0: list_one.append(num) else: list_one.pop() if x == (n-1): final = sum(list_one) break return final print(solution(n)) 계속 "런타임 에러"가 떴다. 알고 봤더니, 입력의 첫줄은 정수 K의 입력인데, 그걸 빼 먹었다. 함수의 (n)이 입력 값 받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따로 넣어줘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