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 IP, 패킷, TCP/IP, UDP/IP
Protocol
- "프로토콜은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칙"
IP - Internet Protocol
정의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Internet protocol의 약어. 인터넷 상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통신망들을 서로 연결하는 규칙."
- "독립적인 여러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패킷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87593&cid=50373&categoryId=50373
무역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준으로 하면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에 해당되는 프로토콜. TCP/IP의 일부로 사용된다. IP 주소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간 패킷의 전송, 즉 경로 제어를 위한 규약으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이 프로토콜의 특징이다. 그러나 패킷이 발신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것은 보증하지 않는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과 함께 사용한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84777&cid=42093&categoryId=42093
기능
- 네트워크에서 정확한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함.
- 각 패킷에 IP정보/패킷(주소)가 첨부되며, 이 IP정보는 라우터가 패킷을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도움.
출처: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internet-protocol
패킷이란?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1799&cid=51207&categoryId=51207
IP패킷이란?
- 각 패킷에 IP header를 추가하여 생성 됨. 패킷에 대한 정보 + 송신자/수신자 IP주소를 가지고 있음.
- IP header에 포함된 내용:
- Header 길이
- 패킷 길이
- TTL (Time To Live)
- 어떤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TCP, UDP)
출처: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internet-protocol
TCP/IP이란? (Transport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Suite라고도 불림)
-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가 어떻게 수신/전송 되는지 결정함.
- 모든 데이터가 순서대로 송신되도록 보장함.
- 수신자가 확인하지만 않은면 패킷을 재전송함.
출처: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internet-protocol
UDP/IP이란? (User Datagram Protocol)
- TCP보다 빠르나 신뢰성이 덜하다. 모든 데이터가 송신 되는 것과, 또 순서대로 송신 되는 것을 보장하지 않음.
출처: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internet-protocol
한줄요약:
"Internet protocol의 약어. 인터넷 상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통신망들을 서로 연결하는 규칙."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87593&cid=50373&categoryId=50373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기기들이 어떻게 통신하는지에 대한 규칙과 포맷을 규정한 것임.
간단히 말하지만 컴퓨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
IP 주소의 규칙을 다루는 내용:
네트워크 상의 기기를 식별 및 위치 파악기기 간의 통신데이터 패킷의 포맷과 전송 어떻게 이뤄질지 규정패킷이 어떻게 목적지에 도달한 건지 규정라우터가 가장 빠르고 효쥴적인 길을 찾을 수 있도록 규정에러가 발상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지